본문 바로가기

pa

Giorgio Morandi


조르지오 모란디 <정물> Giorgio Morandi, , 1957

결국, 정숙한 모란디의 정물화는 지극히 아름다운 역설의 덩어리다. 모던하면서 고전적이고, 직설적이나 풍요롭다. 보편적인 동시에 사적이고, 구상과 추상을 겸한다(이 점에서 모란디의 그림은 홍상수 영화의 틀림없는 예술적 혈족이다). “인간의 눈으로 보는 것 이상으로 추상적이고 초현실적인 것은 없다. 물론 물질은 존재하나 자체의 고유한 의미는 없다. 우리는 오직 컵은 컵이며 나무는 나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모란디의 말이다. 본다는 행위가 무엇인지, 회화가 무엇인지 해명하는 모란디의 정물화는, 언어가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곳에서 미술로 쓴 미술 비평이다.


글 : 김혜리 |

피아노테이블 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image&ie=utf8&query=거실+피아노&x=0&y=0

http://learningforgodsglory.blogspot.kr/2012_09_01_archive.html

 

 

 

 

 

 

 

 

 

 

 

 

 

 

 

 

 

 

 

 

 

 

 

 

 

 

 

 

 

 

 

 

 

 

 

 

 

 

 

 

 

 

 

 

 

 

 

 

 

 

 

 

 

 

 

 

 

 

 

 

 

 

 

 

 

 

 

 

 

 

 

 

 

 

 

 

 

 

 

 

 

 

 

 

 

 

 

 

 

 

 

 

 

 

 

 

 

 

 

 

 

 

'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턴 에이버리  (1) 2014.04.06
De Chirico, Archaeologist  (0) 2014.03.29
아르놀트 뵈클린 / 기초회화 보고서 / 다시 그림이다 요약  (0) 2014.03.24
잭슨폴록 초기작업  (0) 2014.03.17
Duncan Hannah  (0) 2014.02.11
Orest Kiprensky 1782.03.24-1836.10.17  (0) 2013.11.14
Jerome Zonder  (0) 2013.06.10
뭉크  (0) 2013.01.31
mairead o'heocha  (0) 2012.10.14
Elizabeth Magill  (0) 2012.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