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

Karl Blossfeldt (botanical)

botanical illustration

https://www.google.co.kr/search?q=botanical+illustration&newwindow=1&espv=210&es_sm=93&tbm=isch&source=lnms&sa=X&ei=AN_kUoDMJauFiAeR74D4BQ&ved=0CAcQ_AUoAQ&biw=1366&bih=630


artistic botanical

https://www.google.co.kr/search?q=artistic+botanical+fashion&newwindow=1&espv=210&es_sm=93&source=lnms&tbm=isch&sa=X&ei=hN_kUrHQM-q1iQfvn4CwAg&ved=0CAcQ_AUoAQ&biw=1366&bih=630#newwindow=1&q=artistic%20botanical&tbm=isch


-https://www.google.co.kr/search?q=artistic+botanical+fashion&newwindow=1&espv=210&es_sm=93&source=lnms&tbm=isch&sa=X&ei=hN_kUrHQM-q1iQfvn4CwAg&ved=0CAcQ_AUoAQ&biw=1366&bih=630




Karl Blossfeldt

https://www.google.co.kr/search?q=Karl+Blossfeldt&newwindow=1&rlz=1C1KMZB_enKR539KR563&espv=210&es_sm=93&source=lnms&tbm=isch&sa=X&ei=Mp2ZUtyvNquRigfp9ICICA&ved=0CAkQ_AUoAQ&biw=1366&bih=586

 

http://www.soulcatcherstudio.com/exhibitions/blossfeldt/index.htm

 

The plant never lapses into mere arid functionalism; it fashions and shapes according to logic and suitability, and with its primeva force compels everything to attain the highest artistic form.

식물은 결코 단순한 기능주의에 빠져들지 않는다. 논리와 적합성을 따지고 가장 예술적인 형태를 취하도록 주문하는 원시의 힘이 더해져 모습을 갖춘다.

4. 독일 객관주의

 1918년 11월 9일에 독일 황제는 폐위되었다. 군주제를 민주화하겠다는 명분으로 진행되었던 군부 막료들의 개혁적 시도는 매우 미미했으며, 단지 노동자들과 병사들의 반역을 막아내는 정도였다.

 빌헬름 제국의 종말은 독일의 사회 구조를 심각하게 흔들었다. 새로운 공화 정부는 보통선거를 실시했으며, 노동자의 권익을 확장시키려던 노조는 임금법 제정에만 관여한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에게 대표권을 부여하는 기업위원회에도 발을 들여놓았다. 또 이러한 변화는 부르주아에게 불안감을 안겨주었다. 정치적, 경제적 어려움은 뒤이은 몇해 동안 계층 상호간의 적대감을 표출시켰다. 평화가 되돌아오면서, 과거에 군수 산업에 깊이 개입했던 경제는 이제 실업의 증가를 초래했고, 결국 1923년에 절정에 달했던 인플레이션의 앙등을 가져왔다.

 1920년대 초반의 독일사회를 특정지어 주는 급진적 변혁은 불확실성만을 드러냈을 뿐이다. 그리고 이런 변화는 작가, 예술가, 사진가들로 하여금 현재의 상황에 집중된 사진 작업을 선택하게 만들었다. 20년대 예술가들의 작업과 사회적 관점은 과거에 대한 거부와 빌헬름 시대의 문화를 극복하고자하는 치열한 욕구로 깊이 물들어있다. 전통과 개인적인 이야기로부터 등을 돌린 이러한 의지는 그 탐구의 대상이 되었던 "새로운 세계"라는 이상과 유토피아의 원천이었다.

 사진 분야에서의 새로운 시각적 탐구는 "새로운 시선", "새 사진가", "새로운 지각"등과 같은 "객관성"으로, 이것은 단지 사진에만 국한되었던 것은 아니다. 이 개념은 또렷하고 표면이 매끄러운 인화지로써 강조되는 정확성을 통해서 주제를 표현했던 사진술을 가리킨다. 결국 과거에 실행되던 예술사진과 극단적인 대조를 보이는 것이다.

 이 혁신적인 사진가들은 자신들의 표현수법을 은폐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과거에 주류를 이루었던 모든 낭만적인 영상도 거부한다. "새로운 객관성"이라는 개념은 1925년에 G.H. 하르트라우브가 20년대 독일 화가들의 사실주의적 기법을 정의하면서 사용했던 것인데, 이것이 같은 시기의 사진에 적용된 것이다. 대상에 맞서려는 욕구는 바로 그 대상에서 우리를 에워싸고 있는 세계의 실체를 정확히 보려는 열망과 결합된다. 기술의 진보를 중시하는 태도가 독일 사회를 전환시켰다.

 20년대 "새로운 사진가들"이 보여준 스타일의 특징이 복제의 정확성과 그 재발견에 있음은 물론이다. 이것은 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두 가지 큰 경향을 이루게 된다. 그 하나는 알베르트 렝거-파취가 대상과 그 구조를 찬미하여 또 그런 의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사진기법을 치밀하게 구사했던 것이었다. 렝거-파취는 각 소재의 독창적 형태에 관심을 쏟으면서, 자연은 물론 산업에서도 그런 미학을 추구하라고 권고했다.

 바우하우스의 교수인 라즐로 모호이-나지는 이러한 시각적 표현방식의 가장 열렬한 수호자였으며, 또 20년대의 가장 역량 있는 이론가로서 빛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그 기법을 정의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지각이 공간적인 깊이로 확산되는 기본 원리가 가능한 것은 바로 빛의 강약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이 두 사람 모두가 당대적 객관성의 이념을 표현수법을 통해서 충분히 반영한다는 자세로써, 사진술의 정확성을 그 표현수법으로 파악한다. 이런 입장으로부터 추상적 리얼리즘과 화보잡지의 상업성을 염두에 둔 사실주의적 사진들이 생겼다. 또 이 양극 사이에 "새로운 관찰자들"이었던 이미지 혁신가들의 사진이 자리 잡는 것이다.

 만일 1920년대와 30년대의 예술에서 리얼리즘의 복귀가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사진 덕분이었다. 사진 이미지의 묘사능력은 현대의 세계를 찬양하고 밝게 해주었으며 또한 세계의 미래에 대해 다시 생각하도록 자극을 주었다. 스트레이트 사진은 너무 강렬하게 사물을 보여주기 때문에, 우리로 하여금 전에 보았던 같은 대상에 대한 어떤 다른 인상도 잊어버리도록 한다.

 1920년대 독일 회화에서 유행한 신즉물주의 Neue Sachlichkeit에 관해 언급하면서 빌헬름 케스트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진에서의 이러한 객관성은 대상의 정확한 복제, 정확한 현상, 주변과 배경으로부터 대상의 실질적인 고립 그리고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그림자를 제거하거나 그것들을 단순히 화면의 한 요소인 윤곽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조명방법을 찾는 등의 다양한 측면을 통해 표현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회화보다는 더 이해하기 쉬운 구조를 가진, 명백히 표현된 요소를 인지 가능하도록 하는 사진에 대한 선호도에서 그것의 객관성은 발휘된다.

 1) Karl Blossfeldt

1865년 7월 13일 하르츠의 실로 출생.
1881년~1884년 조각과 모형제작자 도예과정
1884년 프로이센 정부의 수공업자 장학금을 받아 베를린 미술실업박물관 학교에서 스케치 수업을 받기 시작한다.
1890년~1896년 사이에 스케치 교사인 모리츠 모이러의 자연을 표본으로 한 수업자료제작 프로젝트에 조교로 참여한다. 이를 위해 그는 다섯 명의 다른 동료들과 함께 로마에서 남유럽을 거쳐 북아프리카로 여행한다. 그는 체계적으로 식물사진을 촬영하여 기록해 나가는 작업에 착수한다.
1912년 결혼 후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식물 채집과 식물사진촬영에도 활용한다.
1921년 교수 임용
1923년 [예술의 원형들]이라는 그의 첫 작품이 출간된다.
1929년에 슈투트가르트의 유명한 전시회 '영화와 사진'에 대표자격으로 참가한다.
1932년 그의 두 번째 사진집인 [자연이라는 신비한 정원]이 그가 출판한 유일한 텍스트와 함께 출간된다.
1932년 12월 9일 베를린에서 사망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3&dirId=314&docId=1153965&qb=S2FybCBCbG9zc2ZlbGR0&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RrjSfc5Y7uCssvrM5fVsssssssN-071008&sid=UraVSHJvLCkAADrODpc






Imogen Cunningham
http://www.google.co.kr/search?q=%EC%9D%B4%EB%AA%A8%EC%A0%A0+%EC%BB%A4%EB%8B%9D%ED%96%84&newwindow=1&client=ms-android-skt-kr&sa=X&hl=ko&source=android-launcher-search&v=133247963&tbm=isch&tbo=u&source=univ&ei=h5OsUY66IcehlQWJ14DIAQ&ved=0CD8Q7Ak&biw=602&bih=925&sei=i5OsUcKkKsa6lQWkoIDwAw

 

커닝함은 도로디 랭과 버크 화이트와 더불어 미국이 자랑하는 3대 여류작가중의 한 사람으로 식물 사진가로 유명하다. 19세에 케르트루드 케스비어의 사진을 보고 매료되어 뉴욕에 있는 스크랜턴의 국제 통신학교에서 사진강좌를구독하고 4X5카메라를 구입하여 공부했다. 시애틀의 워싱턴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식물사진의 슬라이드를 제작하면서 식물의 오묘한 패턴이나 디테일의 아름다운 형태나 패턴, 질감묘사들을 주제로 찍었다. 3학년부터는 에드워드 S 커티스의 스튜디오에서 무보수로일하면서 플라티나인화법을 습득하였다. 1907년에 장학금을 받아 독일의 드레스던 공과대학에서 사진화학을 공부하며 아우구스트 잔더와 접촉을 하고미국으로 돌아올때는 영국에 들려 앨빈 랭던 코번을만나고 뉴욕에 와서는 스티글리츠를 만나기도했다. 1920년경에 도로디 랭과 알게되고 안셀 아담스,웨스톤과도 친교를 맺었다. 1932년에 웨스톤,아담스와 같이 F64Group을 결성하였다. 그녀의 사진의 특징은 대상이 가지고있는 현실성을 인위적인 수정을 조금도 가하지않고 솔직선명하게 묘사함에 있는데 이 점이 웨스톤의 사진에 대한 기본이념과 일치했다. 

'ph'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konamiosamu  (0) 2015.05.11
FRANCESCA WOODMAN  (0) 2015.02.25
olarindal  (0) 2015.01.02
luc delahaye  (0) 2014.01.24
성남훈  (0) 2013.12.24
볼프강틸만스, 김희천  (0) 2013.12.22
kimyounghea  (0) 2013.12.13
Jessica Williams, Sympathetic Objects  (0) 2013.09.27
오석근, 김인숙, 박성진  (0) 2013.08.08
Bearkirk Patrick  (0) 2013.06.17